24절기 선도수행
선교총본산 선교총림선림원 [절기학교] - 24절기 선도수행 "입춘(立春)"
24절기 선도수행
24절기 우수(雨水), 꽃샘추위 속에서도 봄비 내리는 초봄의 절기
우수는 눈과 얼음이 녹고 봄비가 내리는 초봄의 절기 입니다. 흔히 양력 2월 말에서 3월 초 꽃샘추위라 하여 매서운 추위가 잠시 기승을 부리지만, 이미 우수 무렵이면 날씨가 많이 풀리고 봄기운이 돌아 초목이 싹틉니다. 우수(雨水)는 입춘(立春)과 경칩(驚蟄) 사이에 들며, 음력 1월 양력으로 2월 20일경, 태양이 황경 330°의 위치에 있을 때에 듭니다. 우수(雨水)는 눈이 녹아 비가 되다는 시기이니, 날이 풀려 낮에는 온화해집니다. 그래서 ‘우수 · 경칩에 대동강 물이 풀린다.’ 는 말도 생겨났습니다. 우수(雨水)는 15일을 세분하여 그 특징을 나타냈는데, 첫 5일간은 수달(水獺)이 물고기를 잡아다 늘어놓고, 다음 5일간은 기러기가 북쪽으로 날아가며, 마지막 5일간은 봄기운이 따스하여 초목에 싹이 튼다고 하였습니다.
2025년 을사년 우수 날짜와 입절시각 : 2월 18일 · 19시 06분 33초 (음력1.21)
선교(仙敎)에서는 24절기 중 두번째 절기 우수(雨水) 절기에 맞는 선도수행법을 전수합니다. 우수(雨水) 절기에 선교(仙敎)에서는 선교 취정원사님의 천지인합일(天地人合一) 선농무일여(禪農武一如) 사상과 24절기 법문에 따라 선도수행(仙道修行)에 정진합니다. 환인 하느님(桓因上帝)께 올리는 정화수도성과 선교총림선림원의 선도선법(仙道禪法), 선교의례 진향재 및 우수 절기법회, 우수의 유래와 세시풍속 공개강의, 생활속의 선도수행 우수 절기체조, 우수 절기음식 공양과 선가선(仙家禪) 수행, 우수 절기의 유래와 뜻, 우수의 풍습, 우수 절기속담과 봄철 섭생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선교총본산 선교총림선림원 [절기학교] - 24절기 선도수행 "우수(雨水)"
24절기 선도수행
24절기 경칩(驚蟄), 겨울잠에서 깨어난 들녘에 부는 봄바람
경칩는 따스한 봄기운이 완연해지는 시기로 전국적으로 산수유꽃과 매화가 피어납니다. 제주를 비롯해서 광양 하동에서 매화축제가 열리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경칩(驚蟄)은 우수(雨水)와 춘분(春分) 사이에 들며, 음력 2월 양력으로 3월 5일경, 태양이 황경 345° 위치에 있을때 듭니다. 계칩(啓蟄)이라고도 합니다. 경칩 절기가 든 음력 2월은 예로부터 영등달 이라하여 영등할망이 바람을 몰고 온다하여 재계과 근신을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겨우내 움추렸던 산천초목과 사람이 따스한 봄기운에 가벼이 행동하게 되는 것을 주의토록하는 의미도 있을 것입니다. 선림원 절기학교에서는 삼가하고 재계하는 음력 2월 절기 경칩에 고사와 치성을 올리며 우순풍조를 기립니다.
2025년 을사년 경칩 날짜와 입절시각 : 3월 5일 · 17시 07분 15초 (음력2.6)
선교(仙敎)에서는 24절기 중 세번째 절기 경칩(驚蟄) 절기에 맞는 선도수행법을 전수합니다. 경칩(驚蟄) 절기 즈음 선교(仙敎)에서는 음력 2월 삼칠일선정을 시작됩니다. 한민족의 하느님 환인(桓因)께 올리는 정화수도성과 선교 절기의례 및 경칩 절기법회, 경칩의 유래와 세시풍속 공개강의, 생활속의 선도수행 경칩 절기체조, 경칩 절기음식 공양과 선가선(仙家禪) 수행, 경칩의 뜻과 풍습, 경칩 절기속담과 봄철 섭생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선교총본산 선교총림선림원 [절기학교] - 24절기 선도수행 "경칩(驚蟄)"